최저임금을 시작으로 생활물가부터 공공요금까지 모든 지표가 오르고 있다. 예외가 있다면 PC방 이용요금 정도다.

최저임금 폭등으로 PC방 업계를 포함해 소상공인 전체가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물가와 공공요금이 덩달아 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충북을 비롯한 대전, 충남지역 소비자물가가 줄줄이 인상됐다. 충북지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3.28(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 상승했고, 한 달 전에 비해서도 0.6%가 올랐다.

특히 농산물이 전년동월대비 4.5%, 전월대비 6.7%의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며 물가인상을 주도했다. 오징어가 67.3%나 올랐고, 고춧가루 57.7%, 고구마 52.9% 등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겨울철 한파로 과일값이 뛰면서 신선과실지수가 11.9%나 올랐다.

덕분에 외식업계 물가도 요동치고 있다. 농산물 가격과 최저임금 모두가 오르면서 업주들은 인건비 부담을 호소하며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는 상태다. 이미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는 지난해 연말부터 제품 가격 인상에 들어갔다.

공공요금도 인상된다. 먼저 서울시 택시요금이 5년 만에 오른다. 서울시 ‘택시 노사민정전 협의체’는 올 하반기 택시 기본요금을 900~1,500원 올리고, 거리 비례 요금을 포함해 총 요금을 15~25% 인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협의체는 기본요금을 4,500원까지 올려 총 요금 25% 인상 효과를 낼 수 있는 안과 3,900원으로 올려 총 요금을 15% 가량 올리되 택시기사가 회사에 내는 사납금을 동결시켜 실질적인 소득 증대로 이어지게 하는 안을 두고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교통공사도 올해 하반기 중 인천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200∼300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교통공사는 수송원가가 1인당 1,696원에 이르지만, 평균운임은 748원으로 원가 대비 44.1%(2016년 기준)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인천지하철은 수도권 지하철과 연결돼 있어 독자적으로 요금을 인상할 수는 없다. 아울러 물가대책위원회와 수도권교통시스템개선회의 등 통과해야 할 관문도 적지 않아 현재로써는 연내 요금 인상이 실행되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공사는 서울시·인천시, 수도권 지하철 운영기관과 정책 공조를 강화하며 인상 시기와 범위를 조율할 방침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소비자들의 심리도 하루가 다르게 얼어붙고 있다. 미국의 통상압박, 정책 금리 인상 가속화 전망까지 맞물리면서 소비자심리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108.2로, 전월보다 1.7포인트나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 CSI는 89로 1포인트, 향후경기전망 CSI는 98로 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가계수입전망 CSI(103)와 소비자지출전망 CSI(108)도 각각 2포인트와 1포인트 떨어졌다.

심지어 임금수준전망 CSI는 최저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3포인트 하락한 123을 기록했다. 임금수준전망 CSI도 최저임금 상승 영향에 지난달 126으로 역대 최고를 찍었다가 조정받는 모습이다.

이처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물가 인상, 소비심리 냉각, 공공요금 인상 등 생활경제 관련 경제지표가 악화되고 있지만 정부의 대책마련은 미진한 상황이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정부의 소상공인 정책에 아쉬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자기근로시간을 늘리는 것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는 소상공인들을 위한 정부의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